신체이형장애, 진단기준 및 증상
진단 기준
A. 타인이 알아볼 수 없거나 혹은 미미한 정도인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신체적 외모의 결함을 의식하고 이에 대해 지나친 몰두와 집착을 보인다.
B. 외모에 대한 걱정 때문에 질환 경과 중 어느 시점에 반복적 행동(예, 거울 보기, 과도한 치장, 피부 뜯기, 안심하려고 하는 행동)이나 심리 내적인 행위(예, 자신의 외모를 다른 이와 비교하는 것)를 보인다.
C. 이런 집착은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초래한다.
D. 외모에 대한 집착이 섭식장애의 진단을 만족하는 증상을 보이는 사람의 신체 지방이나 몸무게에 대한 염려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1. 진단적 특징
▫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신체적 외모의 결함을 의식하고 이에 대해 지나치게 집착합니다.
▫ 진단 기준 A
- 스스로 자신이 못생기거나 매력적이지 않거나 비정상 또는 기형으로 보인다고 믿습니다. 걱정은 “매력적이지 않거나”, “맞지 않게” 보이는 것에서부터 “끔찍하다”거나 “괴물처럼” 보인다는 정도로 다양합니다.
- 집착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많은 신체 부위에 초점 맞춰지는데, 보통 피부, 모발, 코에서 가장 흔합니다.
- 신체 부위의 비대칭성을 인식하고 이를 걱정하기도 합니다.
- 이런 집착은 침투적이고 스스로 원하지 않는 것이며, 대개 많은 시간을 소모하며, 이에 대해 저항하거나 통제하기가 어렵습니다.
▫ 진단 기준 B
- 이들은 이런 행동을 수동적으로 하는 것처럼 느끼고, 즐겁지도 않을뿐더러 불안감이나 우울감을 증가시킬 수도 있습니다.
- 이러한 행동은 전형적으로 시간을 소모하게 만들며 저항하거나 통제하기 어렵습니다.
▫ 근육 이형증은 남성에게 절대적으로 많으며, 이 환자들은 실제로는 정상으로 보이는 체격이거나 혹은 심지어 매우 근육질 몸매이기도 합니다. 대부분 과도한 식이 조절이나 지나친 운동, 근력운동을 하여 신체 손상을 초래하기도 하며, 어떤 이들은 잠재적으로 위험할 수도 있는 단백 동화 남성 호르몬제나 다른 물질들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 평균적으로 1/3 혹은 그 이상의 환자가 망상적인 수준의 신체이형장애 믿음을 보입니다. 망상적인 수준일 경우 일부 영역에서 훨씬 더 높은 이환율(예, 자살률)을 보임. 이는 신체이형장애 증상이 심하기 때문에 그런 것으로 보입니다.
2. 부수적 특징
▫ 많은 신체이형 환자는 관계 사고나 관계 망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 낮은 외향성, 낮은 자존감, 높은 수준의 불안, 사회적 불안, 사회적 회피, 우울 기분, 신경증적 경향성, 완벽주의적 경향을 보이기도 합니다.
▫ 많은 환자는 스스로 어떻게 보이는지에 대해 과도하게 집중하고 외모 자체를 수치스러워하며 자신들의 걱정을 타인에게 노출하기를 꺼립니다. 대부분은 외모상 결함이 있다고 생각하고 그것을 개선하고자 미용시술을 받으나 그런 치료에 대해 반응이 좋지 않고 때로는 더 나빠지기도 합니다.
▫ 신체이형장애는 시각적 자극에 대해 전반적인 형태를 보기보다 세부 사항을 분석하고 해독하는 데 치중하여 집행과 시각 처리상의 기능 이상을 보입니다.
▫ 환자들은 얼굴 표정과 모호한 시나리오에 대해 부정적이고 위협적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3. 유병률
▫ 미국 성인들에서 시점 유병률은 2.4%입니다(여성 2.5%, 남성 2.2%).
▫ 독일에서는 1.7~1.8%입니다(성차는 미국과 유사).
▫ 현재 유병률은 피부과 환자들의 9~15%, 미국 내 성형 수술 환자들의 7~8%, 전 세계 성형수술 환자들의 3~16%, 치아교정 성인 환자들의 8%, 구강 또는 악안면 수술을 받은 환자들의 10%로 추산됩니다.
4. 발달과 경과
▫ 평균 연령 16~17세, 중앙값 15세, 가장 흔한 발병 연령은 12~13세입니다.
▫ 2/3의 환자들은 18세 이전에 발병합니다.
▫ 어떤 환자들에서는 신체이형장애가 갑자기 나타나기도 하지만, 준임상적인 걱정이나 염려는 대개 서서히 발달하여 나중에 완전한 장애로 발전합니다.
▫ 근거 중심적인 치료를 받는 경우 증상의 호전이 있지만 대개 만성 경과를 띠게 됩니다.
▫ 장애의 임상적 특징은 아동·청소년이나 성인에서 대부분 비슷하게 나타납니다.
▫ 신체이형장애는 노인에서도 발병할 수는 있으나 그에 대해 거의 알려진 바가 없습니다.
▫ 성인기 발병 신체이형장애의 경우보다 18세 이전에 발병한 경우 환자들은 자살 시도를 하거나, 동반이환 장애를 갖거나, 혹은 급성보다는 점진적으로 증상을 보일 확률이 더 높습니다.
'정신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집광, 진단기준 및 증상 (0) | 2022.01.04 |
---|---|
신체이형장애, 원인 및 치료 (0) | 2022.01.04 |
강박장애 감별진단 및 동반이환 (0) | 2021.12.23 |
강박장애 원인 및 치료 (0) | 2021.12.20 |
강박장애 증상 및 진단기준 (0) | 2021.12.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