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신장애117

신체증상장애, 특징 및 치료 신체증상장애, 특징 치료 - 의사 한 사람이 주로 책임지고 정기적으로 일관성있게 치료하는 것이 좋음. - 이 증상이 신체질환 때문이라는 것을 인정하는 듯한 태도를 보여서는 안 됨. 그렇다고 신체증상을 무시하거나 신체질환일 가능성을 무시해서도 안 됨. - 정신치료는 환자가 증상에 대응하고, 원인이 되는 감정을 표현하고, 자신의 느낌을 표현하는 다른 대인을 찾도록 하기 위함임. 분석적인 것보다 지지적, 공감적 정신치료가 더 효과적임. 감별진단 - 신체증상들이 다른 정신질환과 동반되고, 그 장애의 진단기준을 만족한다면, 그 정신질환은 다른 진단 또는 부가적인 진단으로 고려되어야 함 - 신체 증상 및 연관된 생각, 느낌 또는 행동이 단지 주요우울 삽화 동안에만 나타났을 때 신체증상장애가 분리되어 진단되지 않음 .. 2022. 3. 28.
신체증상장애, 진단기준 신체증상장애, 진단기준 신체증상장애 진단기준 A. 고통스럽거나 일상에 중대한 지장을 일으키는 하나 이상의 신체 증상이다. B. 신체 증상 혹은 건강염려와 관련된 과도한 생각, 느낌 또는 행동이 다음 중 하나 이상으로 표현되어 나타난다. 1. 증상의 심각성에 대해 편중되고 지속적인 생각 2. 건강이나 증상에 대한 지속적으로 높은 단계의 불안 3. 이러한 증상들 또는 건강염려에 대해서 과도한 시간과 에너지 소비 C. 어떠한 하나의 신체 증상이 지속적으로 나타나지 않더라도 증상이 있는 상태가 지속된다.(전형적으로 6개월 이상) 다음의 경우를 명시할 것 : 통증이 우세한 경우(과거, 통증장애) : 이 명시자는 신체 증상이 통증을 우세하게 나타난다. 다음의 경우 명시할 것 : 지속성 : 지속적인 경과가 극심한 증.. 2022. 3. 27.
순환성장애, 진단기준 순환성장애, 진단기준 순환성장애 진단기준 A. 적어도 2년 동안(아동 및 청소년에서는 1년) 다수의 경조증 기간(경조증 삽화의 진단기준을 충족하지 않는)과 우울증 기간(주요우울 삽화의 진단기준을 충족하지 않는)이 있어야 한다. B. 2년 이상의 기간 동안(아동 및 청소년에서는 1년, 경조증 기간과 우울증 기간이 절반 이상 차지해야 하고, 증상이 없는 기간이 2개월 이상 지속되어서는 안 된다. C. 주요우울 삽화, 조증 삽화 또는 경조증 삽화가 존재하지 않는다. D. 진단기준 A의 증상이 조현정동장애, 조현병, 조현양상장애, 망상장애, 달리 명시된, 또는 명시되지 않는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E. 증상이 물질(예, 남용약물, 치료약물)의 생리적 효과나 다른 의학적.. 2022. 3. 26.
섬망 섬망 진단기준 A. 중의 장애(즉, 주의를 기울이고, 집중, 유지 및 전환하는 능력 감소)와 의식의 장애(환경에 대한 지남력 감소) B. 장애는 단기간에 걸쳐 발생하고(대개 몇 시간이나 며칠), 기저 상태의 주의와 의식으로부터 변화를 보이며, 하루 경과 중 심각도가 변동하는 경향이 있다. C. 부가적 인지장애(예, 기억 결손, 지남력 장애, 언어, 시공간 능력 또는 지각) D. 진단기준 A와 C의 장애는 이미 존재하거나, 확진되었거나, 진행 중인 다른 신경인지장애로 더 잘 설명되지 않고, 혼수와 같이 각성 수준이 심하게 저하된 상황에서는 일어나지 않는다. E. 병력, 신체 검진 또는 검사 소견에서 장애가 다른 의학적 상태, 물질 중독이나 금단(즉, 남용약물 또는 치료약물로 인한), 독소 노출로 인한 직접.. 2022. 3. 25.
선택적 함구증, 증상 및 치료 선택적 함구증, 증상 및 치료 선택적 함구증 진단기준 A. 다른 상황에서는 말을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말을 해야 하는 특정 사회적 상황(예, 학교)에서 일관되게 말을 하지 않는다. B. 장애가 학습이나 직업상의 성취 혹은 사회적 소통을 방해한다. C. 이러한 증상이 최소 1개월 이상 지속된다(학교생활의 첫 1개월에만 국한되지 않는 경우). D. 사회적 상황에서 필요한 말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거나, 언어가 익숙하지 않아서 말을 하지 않는 것이 아니다. E. 장애가 의사소통장애(예, 아동기 발병 유창성장애)로 더 잘 설명되지 않고, 자폐스펙트럼장애, 조현병 또는 다른 정신병적 장애의 경과 중에만 발생하지는 않는다. 진단을 뒷받침하는 부수적 특징 - 선택적 함구증의 동반 증상으로는 과도한 부끄러움, 사회적.. 2022. 3. 24.
사회불안장애, 증상 및 원인 사회불안장애, 증상 및 원인 위험 및 예후 인자 - 기질적 : 사회불안장애 환자들의 성격적 특징은 행동을 억제하고 부정적 평가를 두려워하는 것이다. - 환경적 : 어린 시절 학대를 받았거나 정신사회적 역경이 사회불안장애의 발병 원인이 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사회불안장애의 위험도를 증가시킬 수는 있다. - 유전적, 생리적 : 행동의 억제와 같은 사회불안장애 환자들의 성격적 특징은 유전적으로 강하게 영향을 받는다. 유전적 영향은 유전-환경 상호작용의 영향을 받는다. 즉, 행동 억제가 높은 아이들은 부모가 지닌 높은 사회적 불안도를 배움으로써 사회적 영향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한다. 기능적 결과 - 사회불안장애는 학교 자퇴와 낮은 사회적 안녕, 취업률, 직업적 생산성, 사회경제적 지위 그리고 삶의 질과 연관된다.. 2022. 3.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