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동증적 운동 장애
진단 기준
A. 반복적이고, 억제할 수 없는 것처럼 보이고, 목적이 없는 것 같은 운동 행동
- 이러한 행동은 흔히 뚜렷한 목적이 결여되어 있는 머리, 손, 몸의 율동적 운동으로 나타나며, 이러한 운동은 멈추려는 노력에 반응할 수도, 반응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 아이들에서는 반복 행동에 주의를 집중하거나 아동의 주의를 분산시켰을 때 그 행동이 중단될 수도 있습니다(신경발달장애가 있는 아동들은 이러한 노력에 대한 반응이 적습니다). 어떤 경우에는 자기 억제적 행동을 보이기도 합니다.
- 상동증적 운동은 하루에도 여러 차례 나타날 수 있고, 몇 초에서 수분 혹은 그 이상 지속될 수도 있습니다. 빈도는 하루에 여러 차례 나타나는 경우에서부터 삽화 사이에 수주가 경과되는 것까지 다양합니다.
- 상황에 따라 다양한 행동이 나타납니다.
- 목적이 없어 보여야 하나 일부 기능은 이러한 행동을 통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예, 상동증적 운동이 외부 스트레스에 대한 불안 반응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B. 반복적인 운동 행동이 사회적, 학업적 또는 기타 활동을 방해하고, 자해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C. 초기 발달 시기에 발병합니다.
D. 반복적 운동 행동은 물질의 생리적 효과나 신경학적 상태로 인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신경발달장애나 정신질환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습니다.
- 1~3세 아동의 경우, 상동증적 운동의 존재는 발견되지 않은 신경 발달 문제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습니다.
1. 유병률
- 단순한 상동증적 운동은 전형적으로 발달하는 어린 아동에서 흔합니다.
- 복합적 상동증적 운동은 훨씬 드뭅니다(약 3~4%).
- 지적장애가 있는 사람의 4~16%가 상동증과 자해를 보입니다. 심한 정도의 지적장애가 있는 경우 위험성이 큽니다.
- 시설에 거주하는 지적장애가 있는 사람의 10~15%에서 자해를 동반한 상동증적 운동장애를 보일 수 있습니다.
2. 발달과 경과
- 상동증적 운동은 대개 생후 첫 3년 내에 시작됩니다.
- 단순한 상동증적 운동은 영아기에 흔하며 운동 숙달의 습득에 관여할 수 있습니다.
- 복합 운동 상동증을 보이는 아동의 약 80%가 24개월 전에 증상을 보이며, 약 12%는 24개월에서 35개월 사이, 8%는 36개월 이후에 증상을 보입니다.
- 전형적인 발달 과정을 보이는 아동의 대부분에서 이러한 움직임은 시간이 지나면 해소되거나 억제될 수 있습니다.
- 지적장애가 있는 경우 상동적·자해적 행동은 수년간 지속될 수 있는데, 자해의 양상이나 유형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3. 위험 및 예후인자
- 환경적 : 사회적 고립, 사회적 스트레스, 공포가 있습니다.
- 유전적, 생리적 : 저하된 인지 기능, 특정 증후군이나 환경적 요인에 노출된 중등도, 고도/최고도의 지적장애를 가진 환자, 반복적인 자해행동은 신경 유전성 증후군의 행동적 표현형일 수 있습니다.
4. 감별진단
정상 발달 : 단순한 상동증적 행동은 영아기와 아동기 초기에 흔하며, 대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해소됩니다. 복합적인 상동증은 정상 발달 아동에서 드뭅니다.
자폐스펙트럼 장애 : 사회적 상호성, 사회적 의사소통, 융통성 없는 반복적 행동과 흥미가 있습니다.. ASD가 있을 땐 자해가 있거나 상동증적 행동이 치료의 초점이 될 정도로 충분히 심각한 경우에만 상동증적 운동 장애로 진단 가능합니다.
틱장애
- 발달 시기에 차이 : 틱은 평균 5~7세, 상동증은 3세 이전에 해당합니다.
- 다양한 양상을 보이는 틱에 비해 상동증은 지속적이고 고정된 양식이나 유형을 보입니다.
- 틱은 주로 눈 얼굴 머리와 어깨에, 상동증은 팔 손 또는 몸 전체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단기간 동안 빠르고 무작위로 나타나며 변동을 보이는 틱, 상동증은 더 고정되고 율동적이며 오랜 기간 지속됩니다.
- 둘 다 주의 분산에 의해 감소됩니다.
강박 및 관련 장애
- 반복적 행동의 특성뿐 아니라 강박 사고가 없다는 점에서 구별됩니다. 또한 강박장애가 있는 개인은 강박사고와 규칙에 대한 반응으로 반복적인 행동을 억제할 수 없다고 느낍니다. 상동증적 운동장애는 목적성이 없습니다.
- 발모광, 피부 뜯기 장애는 실제로 목적성이 있으며 특정 유형이나 율동성이 없습니다. 또한 초기 발달 시기에 나타나지 않으며 사춘기 무렵이나 그 이후에 나타납니다.
기타 신경학적 의학적 상태 : 신경학적 병혁과 검사를 통해 기타 장애를 시사하는 특징을 평가해야 합니다.
5. 동반이환
- 상동증적 운동장애는 일차적 진단일 수도 있고 다른 장애에 의해서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정신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울장애 진단기준 (0) | 2021.12.09 |
---|---|
발달성 협응장애 (0) | 2021.12.08 |
틱장애, 증상 (0) | 2021.12.07 |
자폐스펙트럼장애, 특징 (0) | 2021.12.07 |
자폐스펙트럼장애, 진단기준 (0) | 2021.12.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