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괴적 기분조절부전장애, 진단기준 및 특징
진단 기준
A. 고도의 재발성 분노발작이 언어적 또는 행동적으로 나타나며, 상황이나 도발 자극에 비해 그 강도나 지속시간이 극도로 비정상적입니다.
B. 분노발작이 발달 수준에 부합하지 않습니다.
C. 분노발작이 평균적으로 일주일에 3회 이상 발생합니다.
D. 분노발작 사이의 기분이 지속적으로 과민하거나 거의 매일,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 동안 화가 나 있으며, 이것이 객관적으로 관찰될 수 있습니다.
E. 진단 기준 A~D가 12개월 이상 지속되며, 진단 기준 A~D에 해당하는 모든 증상이 없는 기간이 연속 3개월 이상 되지 않습니다.
F. 진단 기준 A와 D가 새 환경 중 최소 두 군데 이상에서 나타나며 최소 한 군데에서는 고도의 증상을 보입니다.
G. 이 진단은 6세 이전 또는 18세 이후에 처음으로 진단될 수 없습니다.
H. 과거력 또는 객관적인 관찰에 의하면, 진단 기준 A~E의 발생이 10세 이전입니다.
I. 진단 기준 A를 만족하는 기간을 제외하고, 양극성장애의 조증 또는 경조증 삽화의 모든 진단 기준을 만족하는 뚜렷한 기간이 1일 이상 있지 않아야 합니다.
주의점 : 매우 긍정적인 사건 또는 이에 대한 기대로 인해 전후 맥락에 맞게, 발달적으로 적절한 기분의 고조는 조증 또는 경조증 증상으로 고려되지 않아야 합니다.
주의점 : 이 진단은 적대적 반항장애, 간헐적 폭발장애, 양극성 장애와 동반이환할 수 없으나, MDD, ADHD, 품행장애, 물질사용장애와는 동반이환할 수 있습니다. 파괴적 기분조절부전장애와 적대적 반항장애의 진단 기준을 모두 만족시키는 증상을 가진 경우 파괴적 기분조절부전장애만 진단을 내려야 합니다. 만일 조증 또는 경조증 삽화를 경험했다면 파괴적 기분조절부전장애의 진단을 내려서는 안 됩니다.
1. 개념 : 아동이나 청소년들이 자신의 불쾌한 기분을 조절하지 못하고, 심한 분노를 반복적으로 폭발시키는 행동을 나타내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2. 특징
- 핵심 증상 : 만성적으로 심각하고 지속적인 과민성입니다.
- 만성적인 짜증은 간헐적인 분노 폭발로 나타나고, 분노 폭발은 심리적 좌절 때문에 일어납니다.
- 두드러진 임상적 징후가 있습니다.
① 빈번한 분노발작이 있습니다.
- 이는 주로 좌절에 대한 반응입니다.
② 분노발작 사이에 만성적이고 지속적으로 과민한/화가 난 기분이 존재합니다.
- DMDD의 시작은 10세 이전이어야 하며, 발달연령이 6세 미만인 아이에게 적용되어서는 안 됩니다.
- 이 장애가 이러한 연령에 한정되어 발생하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 만성적인 고도의 과민성을 가진 아동의 약 반수가 1년 뒤에도 해당 질환의 진단기준을 지속적으로 만족시킬 것입니다.
- 파괴적 기분조절부전장애(이하 DMDD)와 아동 양극성장애의 차이점이 있습니다.
- DMDD는 고도의 비삽화성 과민한 기분, 아동 양극성장애는 뚜렷한 조증 또는 경조증 삽화가 있습니다.
- 양극성장애의 비율은 사춘기 이전에는 매우 낮으며, 성인기 초기가 되면서 점차 증가합니다.
- DMDD는 사춘기 이전엔 양극성장애보다 더 흔하며, 증상은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이행되며 점차 덜해집니다.
- 조증삽화에서는 고양되거나 의기양양한 기분과 과장된 자신감을 보이나 DMDD에서 보이는 특징은 아닙니다.
- 자살행동 및 공격성을 주의해서 평가해야 합니다.
3. 유병률
- 고도 지속적 과민성의 비율에 근거했을 때 6개월에서 1년간 유병률은 2~5%입니다.
- 남성이 여성보다 높습니다. 이는 남녀 유병률이 동등한 양극성장애와 구별됩니다.
- 학령기에 사춘기보다 높습니다.
4. 위험 및 예후인자
- 기질적 : 진단 기준을 충족하기 전에 이미 광범위한 영역에서 만성적 과민성의 과거력이 흔하고 전형적으로 존재합니다.
- 유전적, 생리적인 경우가 있습니다.
- 만성적인 비삽화성 과민성을 가진 아동은 양극성장애를 가진 아동과 가족력 관련 위험성에서 차이가 납니다.
- 정보처리 능력의 결함 중 표정 인지의 결함과 의사결정 및 인지 조절의 혼란이 나타납니다.
5. 기능적 결과
- 극도로 낮은 좌절에 대한 내성이 생깁니다. 이로 인해 가족 및 또래 관계, 학교에서 수행능력 저하가 유발됩니다.
- 위험한 행동, 자살사고 또는 자살 시도, 고도의 공격성, 정신의학과 입원이 흔하게 나타납니다.
'정신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속성 우울장애 (0) | 2021.12.15 |
---|---|
파괴적 기분조절부전장애, 치료 (0) | 2021.12.14 |
월경전 불쾌장애 (0) | 2021.12.12 |
우울증(우울장애) 원인, 치료 (0) | 2021.12.11 |
우울증(우울장애) 증상 (0) | 2021.12.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