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면증(불면장애) 증상 및 진단기준
진단기준
A. 수면의 양이나 질의 현저한 불만족감으로 다음 중 한 가지 이상의 증상과 연관된다.
1. 수면 개시의 어려움(아동의 경우 보호자의 중재 없이는 수면 개시가 어려움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2. 수면 유지의 어려움으로 자주 깨거나 깬 뒤에 다시 잠들기 어려운 양상으로 나타남(아동의 경우 보호자의 중재 없이는 다시 잠들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나기도 함)
3. 이른 아침 각성하여 다시 잠들기 어려움.
B. 수면 장해가 사회적, 직업적, 교육적, 학업적, 행동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초래한다.
C. 수면 문제가 적어도 일주일에 3회 이상 발생한다.
D. 수면 문제가 적어도 3개월 이상 지속된다.
E. 수면 문제는 적절한 수면의 기회가 주어졌음에도 불구하고고 발생한다.
F. 불면증이 다른 수면-각성장애(예, 기면증, 호흡관련 수면장애, 일주기리듬 수면-각성장애, 사건수면)로 더 잘 설명되지 않으면, 이러한 장애들의 경과 중에만 발생되지는 않는다.
G. 불면증은 물질(예, 치료약물)의 생리적 효과로 인한 것이 아니다.
H. 공존하는 정신질환이 현저한 불면증 호소를 충분히 설명할 수 없다.
진단적 특징 Diagnostic Features
- 불면장애의 필수 증상은 수면 개시나 유지의 어려움 호소를 동반한 수면의 양 또는 질의 불만족감이다. 수면의 어려움은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동반한다. 수면 교란은 다른 정신질환이나 의학적 상태의 경과 중에 발생할 수도 있고, 혹은 독립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
- 불면증의 여러 양상은 수면 주기 중 다른 시간대에 발생할 수 있다. 수면 개시 불면증(또는 초기 불면증)은 잠자리에 들 때 수면을 시작하는 것이 어려운 것을 말한다. 수면 유지 불면증(또는 중기 불면증)은 밤 시간 동안 빈번하게 혹은 지속적으로 각성되는 것을 말한다. 후기 불면증은 이른 아침 각성되고 다시 잠들기 어려운 것을 말한다. 수면 유지의 문제는 불면증의 가장 흔한 단일 증상으로 이 후 잠들기가 어려운 증상이 뒤따르고, 결국 이들 증상이 함께 나타나는 것이 가장 흔한 양상이다. 수면 증상의 특정 유형은 시간에 따라 다양하다. 한때는 수면 개시의 어려움만을 호소하였던 개인이 나중에는 수면 개시의 어려움을 호소할 수 있고, 반대로 수면 유지의 어려움만을 호소하였던 개인이 나중에는 수면 개시의 어려움을 호소할 수도 있다. 수면 개시의 어려움과 수면 유지의 어려움은 개인의 자가보고, 수면 일지, 또는 활동기록기나 수면다원 검사와 같은 기타 방법에 의해 정량화할 수 있다. 그러나 불면장애의 진단은 수면에 대한 환자의 주관적인 지각이나 보호자의 보고에 근거하여 이루어진다.
- 비회복성 수면은 충분한 시간 동안 수면을 취했음에도 일어났을 때 피로가 풀리지 않은 느낌을 주는 수면의 질 저하로 수면 개시나 수면 유지의 어려움과 관련해 발생하고 단독으로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다. 또한 이 증상은 다른 수면장애(예, 호흡관련 수면장애)와 관련하여 보고될 수도 있다. 만약 비회복성 수면이 독립적으로(예, 수면 개시 그리고/또는 수면 유지의 어려움 없이) 발생하였으나 빈도, 기간, 낮 시간 고통 및 손상을 고려하였을 때 모든 진단기준을 만족한다면 달리 명시된 불면장애 혹은 명시되지 않는 불면장애로 진단할 수 있다.
- 진단을 내리기 위한 빈도와 기간에 대한 진단기준 외에도, 추가적인 기준이 불면증의 심각도를 정량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런 정량 기준은 임의적인 것으로 예를 들기 위한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그 예로, 수면 개시 문제는 주관적인 수면 잠복기가 20~30분 이상인 경우로 정의되고, 수면 유지 문제는 수면 개시 이후에 20~30분 이상의 주관적인 각성으로 정의된다. 이른 아침 각성을 정의하는 기준은 없지만, 이 증상은 예정된 각성 시간보다 30분 이상 일찍 깨거나 전체 수면 시간이 6시간 30분이 안 되어 깨는 경우다. 마지막 각성 시간뿐만 아니라 전날 저녁 잠자리에 든 시간도 고려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새벽 4시에 깨는 것이 오후 9시에 잠드는 사람과 오후 11시에 잠드는 사람에서 같은 임상적 심각성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수면을 유지하는 능력이 연령에 따라 감소하고 주 수면 기간main sleep period의 시간대가 연령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이런 양상도 증상을 판단하는데 고려되어야 한다.
- 불면장애는 야간의 수면 문제뿐만 아니라 주간 기능 저하도 가져온다. 여기에는 피로, 덜 흔하게는 주간 졸림이 있다. 주간 졸림은 노인에서 좀 더 흔하고 불면증은 다른 의학적 상태(예, 만성 통증)나 수면장애(예, 수면무호흡)가 동반이환되었을 때 흔하다. 인지 능력의 손상으로 주의, 집중, 기억력, 심지어 단순한 손동작 수행 능력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관련된 기분 장애로는 전형적으로 과민해지거나 기분의 변동성이 커지고 때로는 우울이나 불안 증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야간 수면 교란을 겪는 모든 환자가 고통을 받거나 기능 손상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수면의 연속성은 스스로 잠을 잘 자는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건강한 성인에서도 중단될 수 있다. 불면장애의 진단은 야간 수면 문제와 관련하여 현저한 낮 시간 고통이나 기능 저하가 발생한 경우에 한하여야 한다.
'정신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다수면장애, 증상 및 진단기준 (0) | 2022.02.25 |
---|---|
불면증(불안장애) & 기면증 (0) | 2022.02.24 |
신경성 폭식증, 치료 (0) | 2022.02.23 |
신경성 폭식증, 증상 및 원인 (0) | 2022.02.22 |
신경성 식욕부진증, 증상 (0) | 2022.02.22 |
댓글